728x90
수생생물은 물속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을 의미하며, 바다, 강, 호수, 습지 등 다양한 수중 환경에서 살아갑니다. 수생생물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크게 식물성, 동물성, 미생물성 생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수생생물의 주요 종류


1. 식물성 수생생물



- 조류(Algae):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으며, 수중 생태계의 1차 생산자 역할을 합니다. 예: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 수생식물: 뿌리를 내리고 자라거나 물 위에 떠 있는 식물. 예: 연꽃, 부레옥잠, 갈대
2. 동물성 수생생물



- 어류(물고기): 다양한 담수 및 해수 환경에 서식. 예: 잉어, 메기, 연어, 고등어
- 양서류: 물과 육지를 오가는 생물. 예: 개구리, 두꺼비
- 갑각류와 연체동물: 새우, 게, 조개, 오징어, 문어 등
- 플랑크톤(plankton): 주로 현미경 수준의 작은 생물로, 동물성 플랑크톤은 물고기의 먹이
3. 미생물성 수생생물



- 박테리아, 바이러스, 원생동물 등: 수질 정화와 영양 순환에 기여
🌍 수생생물의 생태적 중요성
역할설명
| 산소 공급 | 광합성 조류가 산소를 생성 |
| 먹이사슬 기반 | 작은 수생생물이 큰 생물의 먹이가 됨 |
| 수질 정화 | 미생물과 식물이 오염물질을 흡수 |
| 생태계 균형 | 각 생물 간의 상호작용으로 건강한 생태계 유지 |
📌 예시: 한국의 대표 수생생물
- 한강의 잉어, 붕어
- 동해의 오징어, 대구
- 남해의 해파리, 멍게
- 전국 습지에서 볼 수 있는 부레옥잠, 갈대
🚨 멸종 위기 수생생물의 대표적인 종류
1. 국내 멸종 위기 수생생물
생물 이름특징멸종 등급
| 감돌고기 | 우리나라 고유 민물고기. 맑은 계곡에 서식 |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
| 묵납자루 | 한반도 북부와 중부 지역 하천에 서식 |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
| 수달 | 강과 하천에서 살아가는 포유류, 물고기 사냥 |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
| 가시고기 | 작은 민물고기로, 번식 행동이 특이함 |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
| 무태장어 | 뱀장어의 일종으로, 회귀성 어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
2. 국제 멸종 위기 수생생물
생물 이름서식지멸종위기 등급 (IUCN)
| 청새치(Swordfish) | 대양 | 취약(Vulnerable) |
| 참다랑어(Bluefin Tuna) | 태평양, 대서양 | 위기(Endangered) |
| 매너티(Manatee) | 열대 해양 및 강 하구 | 취약(Vulnerable) |
| 바쿠타(Vaquita) | 멕시코만 | 위급(Critically Endangered) |
🔍 왜 멸종 위기에 처했을까요?
- 수질 오염: 농약, 중금속, 생활하수 등이 서식 환경을 파괴
- 하천 개발과 댐 건설: 자연 서식지가 사라짐
- 남획과 불법 포획: 경제적 가치가 높은 어류나 포유류의 개체 수 감소
- 외래종 유입: 토종 생물의 먹이 경쟁에서 밀림
✅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 생물 보호 지역 방문 시 서식지 훼손 금지
- 물고기 방류 시 토종 생물 선택
- 불법 어업, 채집 신고
- 환경 보호 캠페인 참여 및 물 절약 실천
728x90
'사회,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잼버리 그리고 버닝맨 (2) | 2025.04.12 |
|---|---|
| 💑 연애와 결혼 현실 비교 (0) | 2025.04.11 |
| 🌉 강과 관련된 전설과 민담 (0) | 2025.04.10 |
| 가난하지만 소박하고 고결한 삶을 산 "박인로" (2) | 2025.04.04 |
| ◎ 돌봄경제(Care Economy)의 부상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