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으로 먹었는데” 28세男 사망…전신마비 일으킨 민달팽이, 왜?



안녕하세요, 상상드림입니다.
오늘은 블로그를 위한 경각심 있는 이야기로 “장난으로 먹었는데 …”라는 제목처럼 시작된 아주 안타까운 사건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가볍게 넘겨선 안 될, 야생 생물과 인간의 접점에서 벌어진 기생충 감염 관련 이야기입니다.
사건 개요
호주 시드니에서 한 20대 남성, Sam Ballard(이하 “샘”)은 친구들과 술자리를 갖던 중 ‘야생 민달팽이(혹은 유사한 달팽이) 한 마리를 먹어볼까?’라는 농담성 제안을 받아들이며 이야기처럼 시작됐습니다. ScienceAlert+2News.com.au+2
이후 샘은 다리 통증, 구토, 어지러움 등의 증세를 보였고, 진단 결과 기생충인 Angiostrongylus cantonensis(일명 ‘쥐 폐기생충’ 또는 rat lungworm) 감염으로 수막뇌염(뇌·척수를 둘러싼 막의 염증)을 일으켰으며, 결국 혼수상태 및 전신 마비 상태에 빠졌고, 2018년 향년 28~29세로 사망했습니다. TIME+1
“장난일 뿐”이라고 생각했던 순간이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버린 케이스입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나? — 기생충 감염 경로
1. 쥐 → 달팽이/민달팽이 숙주
이 기생충은 원래 설치류(쥐)가 숙주이며, 쥐의 폐혈관에서 성체 기생충이 번식하고 알 혹은 유충이 쥐 배설물 등을 통해 환경으로 나옵니다. 위키백과+1
그 다음 달팽이나 민달팽이 등이 그 유충을 먹거나 흡수하면서 중간 숙주 역할을 하게 됩니다. 위키백과
즉, 야생의 민달팽이가 이미 기생충에 감염된 상태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2. 사람 감염 경로
사람이 이 달팽이나 민달팽이를 날로 먹거나 제대로 익히지 않은 상태로 섭취하거나, 달팽이의 분비물이나 배설물로 오염된 채소 등을 섭취함으로써 유충이 사람 체내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ScienceAlert+1
이 후 유충은 사람에서는 주로 뇌 또는 척수로 침투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뇌수막염(수막 및 뇌 실질의 염증) 또는 신경계 이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1
3. 본건의 특징
샘의 경우 “민달팽이를 장난으로 먹었다”는 행위가 감염의 직접적 도구가 되었고, 이후 병세가 급격히 악화된 점이 특징입니다.
“People can get infected by eating raw or under-cooked snails or slugs that are infected with this parasite.” ScienceAlert+1
주요 증상 및 경과
- 감염 후 1~3주 정도 지난 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ScienceAlert
- 초기 증상으로는 두통, 목 뻣뻣함, 구토, 어지러움 등이 보고됩니다. 위키백과
- 심할 경우 수막뇌염(eosinophilic meningitis/meningo-encephalitis) 형태로 진행되며, 뇌 및 척수 손상, 마비, 의식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Newsweek+1
- 샘의 경우에는 약 420일간 혼수상태였으며, 회복 이후에도 전신 마비 상태가 남았습니다. TIME
왜 ‘장난’이 이렇게 위험했나?
- 우리는 흔히 “야생 생물 한 마리쯤이야”라고 가볍게 여길 수 있지만, 특히 미지의 생물 혹은 야생 상태의 달팽이는 기생충이나 병원체의 숙주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 가장 큰 위험요소입니다.
- 기생충 감염은 치료가 쉬운 사례도 많지만, 중증으로 발전했을 때는 신경계에 영구 손상을 남기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경각심이 필요합니다.
- 특히 알코올이 섞인 술자리, 농담 또는 내기 등의 맥락에서 이뤄진 행위는 위험을 인식하기 어렵고, “재미 삼아”가 큰 대가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및 국내 적용 가능성
- 국내에서도 기생충 감염과 관련한 문헌이 존재하며, 예컨대 다이어트식으로 날달팽이나 달팽이류를 섭취했다가 사망한 예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ICDC Incheon+1
- 우리나라 야생 달팽이나 민달팽이도 무해하다고 단정하기 어렵고, 특히 채취·섭취 전 조사가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는 ‘기생충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 따라서 야생 달팽이·민달팽이를 먹는 행위, 혹은 달팽이가 접근할 수 있는 식재료(채소 등)를 제대로 세척하지 않는 행위는 예방해야 합니다.
예방수칙 (블로그 팁형식으로)
- 야외에서 미지의 달팽이나 민달팽이를 먹지 않는다. 농담이나 내기라도 ‘생물섭취’는 경계해야 합니다.
- 채소·과일은 낙엽·토사·달팽이 배설물 등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흐르는 물로 충분히 세척, 가능하면 껍질을 제거하고 조리한다.
- 애완동물(특히 강아지)이나 어린이의 경우 야외에서 달팽이·민달팽이를 놀이·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습기가 많은 날씨엔 달팽이 활동이 많아집니다.
- 이상 증상(두통, 구토, 목 뻣뻣함, 사지저림 등)이 생기면 신속히 의료기관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야생 달팽이나 민달팽이와의 접촉 후라면 의심해볼 만 합니다.
마무리하며…
장난으로 한 번이지만, 그 결과는 삶 전체를 바꿔버렸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히 외국의 ‘이상 사례’로만 치부하면 안 됩니다. 우리 일상 속에 침잠해 있는 자연과 생물 간 접점, 그 사이에 숨어 있는 기생충 리스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됩니다.
'뉴스&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APEC 기간 정상들은 어떤 술 마셨을까? (0) | 2025.11.09 |
|---|---|
| ◐ "女, 온몸에 끔찍한 '뱀 무늬' 생겼다"..알고보니 10년간 사용한 '이것' 때문 (0) | 2025.11.08 |
| ▲ 옛 대구교도소, 도심속 열린 숲으로 탈바꿈 (0) | 2025.11.07 |
| 😊 숙박세일페스타 ‘겨울편’, 할인권 10만여 장 선착순 배포 (0) | 2025.11.04 |
| 🧩 “전국의 모든 축제는 이곳을 본받아야” (0) | 202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