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생활

🔍 "찌르고 킁킁" 반려견 후각으로 암 찾는 스타트업…

꿈나래- 2025. 10. 11. 16:54
728x90
SMALL

"찌르고 킁킁" 반려견 후각으로 암 찾는 스타트업…美서 뭉칫돈

✅ 보도된 사실 정

항목내용
스타트업 SpotitEarly
사업 아이디어 사람의 호흡 시료 속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강아지가 냄새 맡고, AI가 강아지의 반응(행동·신호)을 분석 → 암 조기 탐지
정확도 주장 4대 암(유방암, 대장암, 전립선암, 폐암)에 대해 94% 정확도 보였다는 보고 있음 Startup Ecosystem Canada+2Mobi Health News+2
금액 및 투자 최근 2,030만 달러 (약 20.3 M USD) 투자 유치하며 미국 시장 진출 개시 포브스+3Mobi Health News+3Startup Ecosystem Canada+3
상업화 / 진출 계획 2026년에 상업용 서비스 출시 목표. 미국 내 임상 연구 확대 예정 Mobi Health News+2Startup Ecosystem Canada+2
기술 구성  
  1. 사용자 호흡을 간이 키트나 마스크 형태로 시료 채취
  2. 훈련된 개들에게 시료 제공 → 특정 냄새 반응 유무
  3. AI 플랫폼 (LUCID 등)으로 강아지 반응 + 기타 신호 통합 분석 Yahoo Tech+3Mobi Health News+3Startup Ecosystem Canada+3 |

⚠️ 유의할 점 / 검증 과제

이런 아이디어는 매력적이지만, 성공 여부는 과학적 검증, 안정성, 윤리성 등 여러 도전 과제가 있습니다. 아래는 제가 보는 주요 체크리스트:

  1. 임상 검증 / 반복성 (Reproducibility)
     – 94%라는 수치는 발표된 논문 또는 독립 기관 검증 결과인가?
     – 다양한 인구 집단,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동일한 성능이 나오는가?
     – 위양성(false positive), 위음성(false negative) 비율이 어느 정도인가?
  2. 표본 확보 / 통계적 유의성
     – 암 중증도나 진행 정도가 다른 케이스를 골고루 포함해야 함
     – 암이 없는 사람(건강군)도 많이 포함해서 특이도(specificity)를 제대로 측정
  3. 비교 기준 / 표준과의 비교
     – 현재 사용되는 조기 검사법(예: PET, CT, 혈액 바이오마커 등)과의 성능 비교
     – 비용 대비 효과성: 검사 비용, 반복 가능성, 보험 적용 가능성
  4. 윤리성 / 동물 복지
     – 개가 받는 스트레스나 훈련 방식의 윤리성
     – 강아지의 건강 보장, 은퇴 시 돌봄 계획
  5. 상용화 인프라 / 허가 및 규제
     – 의료기기 / 진단기기로서 인허가 절차
     – 사용자 채취 방식 (호흡 시료 채취 기기), 운송 조건, 보관 안정성
     – 보험 적용 여부, 의료 시스템과의 연계

🔍 업계 동향 및 유사 시도

  • 이미 암 탐지용 동물 후각 활용 연구는 오래전부터 있어 왔습니다. 개 뿐 아니라 개미, 곤충 등도 냄새 감지 기술로 연구된 사례 있음 Drug Discovery News
  • 다만 대부분은 실험실 수준, 또는 소규모 파일럿 연구 수준이었고, 상업화 단계까지 온 건 드뭅니다.
  • 반려동물(개)의 암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도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Raleigh 기반 Oncotect는 개의 소변을 이용한 암 검사법을 개발 중이라는 보도 있음 Axios

🎯 제 생각 / 전망 + 블로그용 포인트

  • 콘텐츠 각색 아이디어: “강아지 코 vs AI” 식의 대비 서사 구축 가능
  • 이 기술이 만약 상용화 된다면, 인간의 조기 암 진단 패러다임 변혁 가능성 큼
  • 하지만 과도한 기대는 경계: 과학적 검증 결과가 향후 기사나 논문으로 나와야 신뢰 확보
  • 블로그 구독자에게 “이건 흥미로운 가능성” 선을 그으면서 소개하는 게 좋을 듯

🔍 핵심 논문 / 연구

  1. Non-invasive multiple cancer screening using trained detection canin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 prospective double-blind study
    — 이게 바로 SpotitEarly 측에서 진행한 것으로 보이는 연구입니다. PubMed+1
    — 해당 논문은 전향적(double-blind) 설계로 여러 암(유방암,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등)을 대상으로 비침습 방식(호흡 샘플) + 개의 후각 + AI 분석 결합 접근을 평가한 연구예요. ResearchGate
    — ResearchGate에 PDF 형태로 일부 본문이 공개되어 있음. ResearchGate
    — 다만 이 논문에서도 “어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에 개가 반응하는가” 등 메커니즘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제한을 언급하고 있어요. ResearchGate
  2. Sniffer dogs can identify lung cancer patients from breath and urine
    — 폐암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개를 훈련해 호흡(breath) 및 소변(urine) 시료에서 암 환자와 정상군을 구분해 낸 결과 보고. BioMed Central
    — 예컨대, 호흡 샘플만으로는 정확도가 약 78% 수준이었고, 호흡과 소변을 합친 복합 샘플에서는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는 결과가 포함됨. BioMed Central
  3. Sniffer Dogs Diagnose Lung Cancer by Recognition of Exhaled Gases
    — 이 연구는 호흡 가스로부터 폐암을 인지하는 탐지 개의 능력을 다룸. 민감도(sensitivity) 71%, 특이도(specificity) 93% 수준의 결과도 보고됨. PMC
  4. Study of the art: canine olfaction used for cancer detection on the basis of breath odour (Perspectives and limitations)
    — 개의 후각을 기반으로 호흡 냄새를 통해 암을 탐지하는 연구들의 동향, 한계, 방법론 문제점 등을 개괄한 리뷰 논문. ResearchGate
    — 일부 결과로, 개들이 구별하는 데 반응이 있는 것으로 제안된 VOCs 예: 2-pentanone, ethyl acetate, 그리고 부정 상관 보인 물질로 1-propanol, propanal 등이 보고됨. ResearchGate
    — 다만, 여러 연구마다 실험 설계나 표본, 블라인드 조건이 달라서 재현성 문제가 있다고 지적됨. ResearchGate
  5. Remote Medical Scent Detection of Cancer and Infectious Diseases With Dogs and Rats: A Systematic Review
    — 개나 쥐 등을 활용한 원격 후각 기반 탐지(big picture)를 종합한 체계적 리뷰. PMC
    —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후각 기반 질병 탐지의 증거 수준, 성과 및 한계 등을 분석. PMC

⚠️ 논문 / 기술적 한계 & 검증 포인트

  • 개가 어떤 특정 VOCs (휘발성 유기 화합물) 조합에 반응하는지, 그 화합물들이 암 조직에 유래된 것인지 등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는 경우는 드뭅니다. (많은 논문에서 이 부분을 “미확정” 또는 “추정됨” 수준으로 취급) ResearchGate+2ResearchGate+2
  • 실험 설계의 다양성 (샘플 수, 블라인드 조건, 대조군 구성, 개 훈련 방식 등) 때문에 각 연구 결과 간 비교가 어렵다는 지적이 많아요. ResearchGate+2ScienceDirect+2
  • 조기 암(아직 증상이 거의 없는 상태)까지 탐지 가능하다는 주장에는 증거가 약한 경우가 아직 많고, 대부분의 연구는 이미 진단된 환자 샘플 중심으로 진행됨. ResearchGate+2PMC+2
  • 개의 반응(예: 앉기, 꼬리 흔들기 등)을 인간이 해석하는 오차나 주관성이 개입할 수 있기 때문에, AI나 영상 분석을 더하는 방식이 최근 연구 트렌드가 됐어요. (예: SpotitEarly 연구) Science News+2ResearchGate+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