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맛집

🧘‍♀️ 사찰음식 대축제

꿈나래- 2025. 5. 20. 22:37
728x90
SMALL
 

2025년 제4회 사찰음식 대축제가 10년 만에 다시 열립니다. 이번 행사는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것을 기념하여, 그 전통과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이불교+14헤럴드경제+14불교방송+14네이트 뉴스+10연합뉴스+10헤럴드경제+10

🧘‍♀️ 제4회 사찰음식 대축제 개요


🍲 주요 프로그램

전시

체험 및 시식

강연 및 토크콘서트

  • 6월 7일:
    • 계호스님: '사찰음식으로 배우는 지혜 - 청정, 유연, 여법'
    • 선재스님: '1700년 사찰음식의 지혜, 발효'
    • 대안스님: '사찰음식을 통해 바라본 음식의 환경과 미래'
  • 6월 8일:

📌 사전등록 안내


🗺️ 오시는 길


이번 축제는 사찰음식의 깊은 철학과 전통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건강한 음식과 마음의 평화를 찾고자 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연합뉴스


 

 
🍽️ 사찰음식의 대표적인 요리와 그 의미

사찰음식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불교의 수행과 자비정신이 깃든 수행의 일환입니다. 조미료 없이 자연의 재료만을 사용하며, 생명을 해치지 않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 대표적인 사찰음식

음식명특징의미
우엉조림 우엉을 간장과 조청으로 졸인 음식 뿌리 깊은 우엉처럼 수행의 깊이를 상징
산나물 무침 계절마다 나는 산나물을 삶거나 무쳐서 조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상징
버섯전골 다양한 버섯을 채소 육수에 넣고 끓인 국물 요리 고기 없이도 풍부한 맛을 내는 자연의 힘을 상징
김치 젓갈 없이 절인 배추를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으로 무침 동물성 재료 없이도 발효의 조화를 보여줌
된장국 집에서 띄운 된장으로 끓인 국 발효를 통한 기다림과 정성을 상징
죽(粥) 쌀이나 잡곡을 오래 끓인 부드러운 음식 수행자의 첫 식사로, 절제와 자비를 상징
 

🌱 사찰음식이 특별한 이유

  • 오신채 금기: 파, 마늘, 부추, 달래, 흥거(중국산 향신채) 등을 사용하지 않음. 이들은 수행에 방해되는 자극적인 맛으로 간주됩니다.
  • 무살생의 원칙: 어떤 생명도 해치지 않고 조리.
  • 자연의 순리에 따름: 제철 식재료, 지역의 식자재를 사용.
  • 소식(少食)과 절제: 필요한 만큼만 먹고, 남기지 않음.

💬 한국적인 이해를 돕는 비유

사찰음식은 마치 할머니 손맛이 깃든 밥상 같아요. 화려하진 않지만 마음이 편안해지고, 먹는 것 자체가 하나의 명상이 되는 경험입니다.


 
🌿 사찰음식 장인 스님들의 이야기

사찰음식은 단순한 요리를 넘어, 수행과 자비의 정신이 깃든 삶의 방식입니다. 이러한 철학을 실천하며 사찰음식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스님들이 있습니다.YouTube


🧘‍♂️ 정관 스님: 사찰음식의 세계화를 이끄는 선구자

정관 스님은 조계종의 수행승으로, 백양사 천진암의 주지이자 사찰음식연구소 '풋내'의 소장입니다. 그는 사찰음식을 단순한 채식이 아닌, 자연과의 조화와 생명 존중의 철학으로 승화시켰습니다.램프쿡+3아주경제+3매일경제+3

그의 요리 철학은 식재료 하나하나를 생명으로 이해하며, 그릇 안에 자연의 에너지를 온전히 담아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접근은 국내외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셰프의 테이블'에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불교닷컴+2매일경제+2램프쿡+2

또한, 정관 스님은 뉴욕에서 열린 한-미 전통불교문화교류 행사에서 사찰음식의 철학과 요리 과정을 소개하며, 참가자들에게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의 지혜를 전했습니다. 뉴스와이어+1불교닷컴+1


🍂 사찰음식 장인 스님들의 공통된 철학

사찰음식 장인 스님들은 다음과 같은 철학을 공유합니다:

  • 무살생의 원칙: 모든 생명을 존중하며, 동물성 재료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오신채 금기: 파, 마늘, 부추, 달래, 흥거 등 자극적인 재료를 피하여, 수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합니다.
  • 자연과의 조화: 제철 식재료를 활용하여, 자연의 순리에 따릅니다.
  • 절제와 소식: 필요한 만큼만 조리하고 섭취하여, 탐욕을 경계합니다.

이러한 철학은 단순한 식생활을 넘어, 삶의 태도와 수행의 일환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더 알아보기: 정관 스님의 사찰음식 이야기

정관 스님의 사찰음식 철학과 요리 과정을 직접 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뉴스와이어

 

 

🍲 사찰음식 체험 프로그램 참여 방법

1. 사찰음식 대축제 참가

2025년 6월 7일(토)부터 6월 8일(일)까지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 제1전시장에서 열리는 제4회 사찰음식 대축제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사전등록: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하시면 기념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체험 프로그램: 스님과 함께하는 나물 다듬기, 차 명상, 사찰음식 첫걸음 등 다양한 체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2.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활용

전국의 사찰에서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찰음식 체험을 제공합니다.

  • 참여 방법: 템플스테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사찰과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 체험 내용: 사찰음식 만들기, 발우공양 체험, 스님과의 대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지역 문화센터 및 불교문화 행사 참여

지역의 문화센터나 불교문화 행사에서도 사찰음식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예시: 서울국제불교박람회에서는 사찰음식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참여 방법: 해당 행사나 문화센터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 또는 현장 접수를 하실 수 있습니다.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참여 시 유의사항

  • 사전예약 필수: 인기 프로그램은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미리 예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참가비: 일부 프로그램은 무료이나, 재료비 등의 명목으로 소정의 참가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복장: 편안한 복장과 신발을 착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찰음식 체험은 단순한 요리 체험을 넘어, 마음의 평화를 찾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의 방식을 배울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관심 있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깊은 체험을 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