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소개
🚀 "서울서 뉴욕까지 7시간만에 도착?"… 美나사 '괴물 비행기’
꿈나래-
2025. 7. 22. 05:34
728x90


🚀 미 나사 “괴물 비행기” X‑59…서울↔뉴욕 7시간?
1. 실제 성능과 속도
- X‑59 QueSST는 마하 1.5 수준(약 990 mph, 시속 약 1,590 km)로 비행하며, 조용한 '소닉덤프(thump)'를 목표로 설계된 **'소음 없는 초음속기'**입니다 인스타그램+4The Sun+4New York Post+4.
- 이를 기반으로 뉴욕↔런던 약 3.5시간 비행 가능성이 있지만, 서울↔뉴욕 7시간은 일반적인 초음속 범위 속도에서는 어렵습니다. 현재 기종은 흥행 수준의 “괴물 비행기”급은 아니고, 마하 1.5 수준입니다.
2. X‑59의 목적
- 소음 문제 극복: 기존 초음속기(컨코드)의 치명적 단점이었던 소닉붐을 완화하는 게 주 목표로, “조용한 초음속” 시대 열기 위함입니다 The SunSpace.
- 기술 실증 단계: 2025년 중 첫 비행 이후, 초음속 상업 항공 규제 변경을 시험할 예정입니다 World Today News+5The Economic Times+5The Sun+5.
3. “괴물 비행기”는 실제로?
- 마하 4–9급의 극초음속·극초음속기 개발은 **NASA와 여러 기업(예: Venus Aerospace 'Stargazer', 영국 SABRE, Lockheed SR‑72 등)**이 진행 중입니다. 일부 컨셉은 런던↔뉴욕 1시간, 지구 일주 7시간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The SunThe SunThe Sun.
- 그러나 이들 항공기는 모두 개발 중이며, X‑59는 여전히 마하 1.5 급, 초음속 실증용 실험기에 해당합니다.
🛫 결론 요약
항목X‑59 (QueSST)극초음속기(예: Stargazer, Sabre, SR‑72)
| 속도 | 마하 1.5 소음 저감 초음속 | 마하 4~9 극초음속 |
| 용도 | 소닉붐 연구, 규제 완화 | 장거리 초고속 항공 상용화 |
| 서울↔뉴욕 예상시간 | 6~7시간 불가 | 컨셉상 1–2시간 가능성 있음 |
| 상용화 시기 | 2025년 비행 시험 목표 | 2030년대 이후 전망 |
따라서 **“서울서 뉴욕까지 7시간”**은 X‑59와는 무관하며, 오히려 기존 제트 여객기 수준이고, 국제 언론의 혼동 또는 오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
관련 뉴스
✈️ X‑59의 ‘소닉덤프(Sonic Thump)’ 기술 원리
✅ 요약
‘소닉덤프’는 기존 초음속기의 ‘소닉붐(Sonic Boom)’을 줄이기 위한 기술입니다. X‑59는 특별한 기체 형상과 기술을 통해, 충격파를 분산시켜 “쿵”이 아닌 “툭” 소리로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1. 기존 초음속기의 소닉붐 문제
- 초음속으로 날면 기압파가 기체 앞뒤에서 합쳐져 **“소닉붐”(강한 폭음)**이 발생합니다.
- 지상에서는 유리창 파손, 동물 혼란, 소음 피해로 인해 민간 초음속 비행이 금지됐습니다.
- 예: **컨코드(Concorde)**는 대서양 상공에서만 초음속 비행 허용
🌊 2. X‑59가 해결하려는 기술적 접근
요소설명
| 길쭉한 기수 디자인 | 기체 앞에서 발생하는 충격파를 앞쪽에서부터 단계적으로 나눠서 퍼뜨림 |
| 엔진 상단 장착 | 전통적인 하부 장착과 달리, 지면으로 향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위쪽에 장착 |
| 날개 위치와 기체 배치 최적화 | 충격파가 합쳐지지 않고 여러 개의 약한 파동으로 나눠지도록 설계 |
| 저소음 테스트 | NASA는 실제로 지상에서 사람들에게 "소리 평가" 실험을 할 예정 (미국 도시 위를 날아 실험 진행) |
📼 예시: 소닉붐 vs 소닉덤프
- 소닉붐: 자동차 문을 아주 세게 닫는 듯한 '쾅' 소리
- 소닉덤프: 멀리서 책을 살짝 떨어뜨린 듯한 '툭' 소리
→ 일반적인 도심 소음보다도 작거나 비슷한 수준이 되도록 설계됨
🔍 결론
X‑59의 소닉덤프 기술은 단순한 속도가 아니라, “조용한 초음속”을 구현하기 위한 공기역학적 설계 혁신입니다.
향후 이 기술이 성공하면, 초음속 여객기의 규제 완화와 민간 상용화의 문이 열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 극초음속기(Stargazer, SR-72 등)의 기술적 과제
극초음속기(hypersonic aircraft)는 **마하 5 이상(시속 약 6,100km 이상)**의 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를 말합니다. 이 기술은 군사·우주·상업용 분야에서 큰 잠재력을 지니지만, 극복해야 할 기술적 난관도 매우 큽니다.
🔧 주요 기술 과제 5가지
1. 엔진 기술 – 스크램제트(Scramjet)
- 극초음속기에서 일반 제트엔진은 작동 불가 → 공기흡입 방식의 스크램제트 엔진 필요
- 공기 유입 속도 자체가 너무 빨라서 연료 연소 제어가 매우 어려움
- 현재까지는 단시간 시험비행에만 성공 (지속 비행 및 상용화는 미완)
2. 기체 내열 소재
- 마하 5 이상 속도에서는 마찰로 인해 기체 표면 온도가 **1,500~2,000℃**에 달함
- 이를 견디는 **고내열 소재(예: 탄화규소, 열차폐 타일)**가 필수
- 반복 비행을 위한 열 피로 내성 확보가 관건
3. 기체 형상 설계
- 극초음속 상태에서 발생하는 공기 저항(충격파)을 최소화하면서도 조종 가능한 형상 설계 필요
- 고속일수록 기체 형상에 따른 공기역학적 불안정성이 심해짐
4. 조종 및 내비게이션
- 마하 5~9의 속도에서는 지구 자전, 곡률, 대기 저항 등 변수의 영향이 큼
- 실시간으로 정밀한 항법 시스템과 자동 제어 기술이 필수
- 데이터 전송 및 통신도 지연 없이 작동해야 함
5. 비용 및 운영 인프라
- 시험기 1대 제작 비용이 수천억~조 단위
- 발사대, 활주로, 연료 인프라 등도 기존 여객기와는 완전히 다름
- 군용은 가능하더라도, 상용화는 채산성이 큰 장애물
✈️ 대표 사례별 과제 예시
항공기기술적 과제개발 상태
| Stargazer (Venus Aerospace) | 스크램제트와 터보팬 융합 엔진, 고도 상승 후 초고속 돌입 기술 | 개념 검증 단계 |
| SR-72 (Lockheed Martin) | 드론 무인 시험비행을 통해 극초음속 감시·타격 기술 | 2025년 시제기 목표 |
| Sabre 엔진 (영국 Reaction Engines) | 공기흡입+우주용 엔진 전환 기술, 극저온 공기예열 시스템 | 지상 엔진 테스트 중 |
✅ 결론
극초음속 항공기는 상상처럼 멋진 기술이지만, 엔진·재료·제어 등 거의 모든 기술에서 극한의 도전이 필요합니다.
2020~2030년대는 시제기 시험의 시기이며, 상용화는 그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 1. 한국형 전투기 – KF‑21 보라매 (초음속)
- KF‑21 보라매는 최대 마하 1.8까지 가능한 4.5세대급 초음속 전투기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개발 중입니다 위키백과+8한겨레+8ZDNet Korea+8Overt Defense+2위키백과+2Strategic Frontier+2.
- 2022년부터 시험비행 중이며, 엔진은 GE F414 계열을 사용하나 한화우주·두산 등 국내 기업이 **자체엔진 개발(2036년 목표)**도 추진 중입니다 Financial Times+1위키백과+1.
🚀 2. 한국형 극초음속 미사일 – ‘하이코어’ 등
- 국방과학연구소(ADD)는 마하 5 이상 속도의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을 2010년대부터 연구해왔습니다 유튜브+9한겨레+9한국경제+9.
- 2023년에 ‘하이코어’ 시제품을 제작했으며, 2024년 혹은 2025년에 시험발사를 계획 중입니다 한국경제.
- 이 미사일은 듀티드 램제트(ducted ramjet) 엔진 기반이며, FA‑50·KF‑21 등의 플랫폼에서 공대함·공대지 작전에 활용될 전망입니다 kedglobal.com+15navalnews.com+15위키백과+15.
🧪 3. 학술·기초 연구 (대학·연구기관 중심)
- GIST(광주과학기술원)를 중심으로 공력가열 감소용 표면 미세구조 설계 등의 연구가 활발하며, 인하대·서울대·부산대 등과 협력해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ZDNet Korea.
- 인하대 이형진 교수 연구팀은 “소재만으로는 극초음속 엔진 해결 불가능”이라며 엔진·열 관리·제어 시스템 통합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한국경제+7유튜브+7JPL 인하대학교+7.
✅ 정리
구분개발 대상단계 및 속도
| KF‑21 보라매 | 전투기 | 시험비행 중 (마하 1.8) |
| 하이코어 등 미사일 | 극초음속 무기 | 시제품 제작·시험발사 예정 (마하 5 이상) |
| 학술 연구 | 엔진·열관리·열피로 대응 | 대학·ADD 중심으로 기초 연구 진행 중 |
결론적으로, 한국은 이미 초음속 비행체(KF‑21)와 극초음속 무기(하이코어 미사일), 그리고 관련 핵심 기술 연구까지 단계별로 청사진을 갖추고 있으며, 2030년대 상용 전투기 엔진 개발, 극초음속 비행체 실용화를 목표로 기술 역량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728x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