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 빨래 ‘이렇게’ 하다간 큰일?…기생충 ‘드글드글’
꿈나래-
2025. 11. 9. 07:25
728x90
빨래 잘못하다간 기생충 ‘드글드글’ 피부 속까지?



블로그 운영자 상상드림이 오늘은 조금 섬뜩하지만 꼭 알아야 할 ‘빨래 습관’ 이야기를 들고 왔어요.
우리 집 빨래, 혹시 이렇게 하고 있진 않나요?
“아침에 입은 옷 바로 세탁함?”, “얇은 빨래통에 덜어서 빨래하고 그대로 말림?”
그런 습관이 혹시 피부 속 기생충이나 벌레들의 숨바꼭질 무대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
왜 빨래가 ‘기생충 위험 무대’가 되나?
- Scabies(옴)은 벌레 ‧ 바퀴벌레가 아니라 ‘흰개미’처럼 꾸며진 진드기(Sarcoptes scabiei)가 피부 속에 파고들어 산란하고 기생하는 질환이에요. 세계보건기구+2질병통제예방센터+2
- 옷·이불·수건처럼 사람이 접촉한 섬유물이 진드기나 체외기생충의 매개체가 될 수 있어요. 실제로 “의복, 담요, 침구를 통한 간접전파도 가능”이라고 보고된 바 있어요. Health.vic+2질병통제예방센터+2
- 특히, 빨고 난 후 제대로 건조되지 않거나 낮은 온도·습한 상태로 보관된 섬유류는 벌레나 진드기가 쉬어가는 장소가 됩니다.
빨래 습관 중 꼭 고쳐야 할 5가지 ‘위험 포인트’
- 찬물만 사용하는 빨래 습관
→ 일부 기생성 진드기는 고온에서 사멸된다는 보고가 있어요. 질병통제예방센터+1
→ 물 온도가 낮으면 옷 속 벌레들이 오랫동안 생존 가능. - 세탁 후 건조·다림질 생략
→ 표준 권고: “의류·침구를 50℃ 이상으로 10분 이상 건조 혹은 다림질하면 진드기·알 제거됨”이라고 나와 있어요. 질병통제예방센터+1 - 이불·담요·베개커버 자주 안 바꾸거나 눕혀 건조만 함
→ 사람이 누운 시간 많으면 진드기·벌레 입장에서 천국. - 빨래통이 눅눅하거나 환기 안 됨
→ 습기 찬 공간은 기생충 서식지로 작용하기 쉬운 환경! - 공유 빨래함·건조대 사용 + 여럿이 컨택 많은 옷 착용
→ 다인 가구, 유치원생 있는 가정 등 접촉 많은 환경은 “전파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돼요. Health.vic
그래도 너무 겁먹을 필요 없어요! 실천 가능한 예방법
- 세탁 시 물 온도 높이기: 가능하면 40℃ 이상, 이불·침구는 50℃ 이상 세탁 후 뜨거운 건조나 다림질까지.
- 건조·다림질 습관화: 얼룩이 없다면 건조기나 햇볕건조 후 필히 다림질 권장.
- 섬유류 교체 주기 관리: 베개커버·이불커버는 2주에 한 번, 기타 옷은 사용 후 환기 후 보관.
- 빨래통 관리: 빨래통도 자주 세척하고 햇빛이나 환기 좋은 곳에 두기.
- 공동사용 빨래함 주의: 가족 중 기침·피부 가려움증 있는 사람 있다면 빨래 분리 세탁 + 건조 철저히.
- 피부 가려움·발진 생기면 확인: 밤에 특히 가려울 경우 전문가 상담 고려. 세계보건기구+1
마무리 한마디
우리 집 빨래 습관이 기생충 프리존이 될 수도, 벌레 콘서트장이 될 수도 있어요.
작은 습관 하나 바꾸는 것만으로도 가족 피부 건강·위생 수준이 확 바뀔 수 있답니다.
블로그에서 가족 건강 콘텐츠 나올 때마다 “빨래 이렇게 하라니까!” 하고 한 줄 팁 써두셔도 좋겠어요 😄
728x90